썰매....아련한 추억
쥐불놀이...깡통...
잠시 옛날로 가네요.
잘 읽었습니다.
어릴적에는 팽이와 썰매는 직접 만들쓰는 시대였다.
양쪽에 방망이만한 나무를 약간 넓적하게 다듬고 판자를 이은 다음 방망이 나무 밑 부분에 굵은 철사가 잘 장착되도록 살짝 실선(홈)을 판 후 그 실선 홈에 철사를 늘어뜨려 고정하면 썰매가 되는 것이었다.
선운산 입구쪽 길옆에 조그만 방죽(10평정도 깊은 웅덩이)이 있는데 겨울이면 얼음이 두껍게 얼어 썰매타기에 아주 좋았다.
(학교 들어가기 전의 기억이니 아마도 5~6살 기억이지 않나 싶다)
어느 날 방죽에 도착하니 수십명의 동네 형들이 팽이도 치고 썰매와 비료푸대를 가지고 미끄럼질 하며 신나게 놀고 있었다.
가만히 보니 작은 형과 큰 형도 보인다. 형에게 졸랐다.
나도 태워줘~
그래? 들어와~
방죽 안으로 들어오라고 손짓했다.
너무 좋아서 발을 디딛자 얼음이 퍽~ 하며 꺼져버린다. 아마도 녹고 있는 과정에 가장자리를 밟은 모양이다. 몸이 물속으로 쏙 들어간다. 본능적으로 깨지지 않은 얼음 조각을 잡았다. 목까지 물이 찼다.
형아~ 빨리 꺼네줘~
근데 형을 비롯해서 꺼낼 생각은 않고 모두가 배꼽잡고 웃기만 한다.
아마 물에 빠지는 모습이 웃겼던 모양이다.
흐흐아.. 낄길길~~~ 헤~헤헤~~~
한참 웃고 나더니 큰형이 손을 잡아 꺼내준다. 그리곤 나보고 집에 빨리 가란다.
놀지 못해 아쉬웠지만 추워서 갈 수 밖에 없었다.
한참을 걸어가는데 몸이 자동으로 덜덜덜 움직였다.
그 때 논두렁에서 마주친 동네 형 두명이 나보고 묻는다.
너 춥지?
응..
여기다 불 놓아 줄까?
응..
나를 생각하는 마음이 우리 형들보단 낫다고 생각했다.
두 형들은 피식피식 웃으며 성냥을 그었다.
삽시간에 불기둥이 크게 생겼다.
정말 불기둥이 얼마나 큰지 몇 미터를 물러나도 옷이 탈 듯이 마르기 시작했다.
어?
옷을 말리느라 한 눈파는 사이에 불을 놓았던 형들은 없어지고 저쪽에서 웬 아저씨가 소리 지르며 뛰어온다.
그 뒤로 마을 사람들이 줄줄이 따라서 뛰어온다.
불기둥이 산처럼 솟아오르니 동네사람들이 놀래서 소리 지르며 달려 나온 것이다.
너 이놈~
맨 먼저 도착한 아저씨가 내 목을 잡고 막 흔든다.
이놈의 새끼... 네가 불질렀지?
엉~ 아니예여~
형아들이 질렀어여~
뭐? 여기 너 밖에 더 있어?
조그만한 놈이 거짓말부터 배웠네.
네 아버지에게 가자!
아까 그 형들이 불을 짚은 곳은 동네 사람들이 벼 추수 후 공동으로 지푸라기 볏단을 모아 논에 크게 쌓아 놓은 지푸라기 더미였다.
그 이유는 동네 전체가 지붕을 고치거나 새로 올리거나 성황당이나 당산나무를 감아주는데 사용하는데 필요한 공동재산이었다.
이 지푸라기 짚단(볏단)은 소 여물도 먹이고 새끼줄도 꼬고 망태도 만들고 여러 가지로 활용하는 지푸라기 짚이었다.
그런데 그 소중한 지푸리기 볏단에다 불을 지폈으니 동네가 난리가 난 것이다.
나는 계속 아니라고 말했다.
그러기를 수십분...
마을사람들이 웅성웅성 하더니 그 자리에서 풀어줬다.
그 후 부모님께서 보상을 했는지 아니면 그 형들이 자수를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나는 증거 불충분으로 억울한 누명에서 풀려나게 된 것이다.
그 뒤로는 정식으로 썰매를 타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남의 자산에 불내어 죄송했습니다.
양쪽에 방망이만한 나무를 약간 넓적하게 다듬고 판자를 이은 다음 방망이 나무 밑 부분에 굵은 철사가 잘 장착되도록 살짝 실선(홈)을 판 후 그 실선 홈에 철사를 늘어뜨려 고정하면 썰매가 되는 것이었다.
선운산 입구쪽 길옆에 조그만 방죽(10평정도 깊은 웅덩이)이 있는데 겨울이면 얼음이 두껍게 얼어 썰매타기에 아주 좋았다.
(학교 들어가기 전의 기억이니 아마도 5~6살 기억이지 않나 싶다)
어느 날 방죽에 도착하니 수십명의 동네 형들이 팽이도 치고 썰매와 비료푸대를 가지고 미끄럼질 하며 신나게 놀고 있었다.
가만히 보니 작은 형과 큰 형도 보인다. 형에게 졸랐다.
나도 태워줘~
그래? 들어와~
방죽 안으로 들어오라고 손짓했다.
너무 좋아서 발을 디딛자 얼음이 퍽~ 하며 꺼져버린다. 아마도 녹고 있는 과정에 가장자리를 밟은 모양이다. 몸이 물속으로 쏙 들어간다. 본능적으로 깨지지 않은 얼음 조각을 잡았다. 목까지 물이 찼다.
형아~ 빨리 꺼네줘~
근데 형을 비롯해서 꺼낼 생각은 않고 모두가 배꼽잡고 웃기만 한다.
아마 물에 빠지는 모습이 웃겼던 모양이다.
흐흐아.. 낄길길~~~ 헤~헤헤~~~
한참 웃고 나더니 큰형이 손을 잡아 꺼내준다. 그리곤 나보고 집에 빨리 가란다.
놀지 못해 아쉬웠지만 추워서 갈 수 밖에 없었다.
한참을 걸어가는데 몸이 자동으로 덜덜덜 움직였다.
그 때 논두렁에서 마주친 동네 형 두명이 나보고 묻는다.
너 춥지?
응..
여기다 불 놓아 줄까?
응..
나를 생각하는 마음이 우리 형들보단 낫다고 생각했다.
두 형들은 피식피식 웃으며 성냥을 그었다.
삽시간에 불기둥이 크게 생겼다.
정말 불기둥이 얼마나 큰지 몇 미터를 물러나도 옷이 탈 듯이 마르기 시작했다.
어?
옷을 말리느라 한 눈파는 사이에 불을 놓았던 형들은 없어지고 저쪽에서 웬 아저씨가 소리 지르며 뛰어온다.
그 뒤로 마을 사람들이 줄줄이 따라서 뛰어온다.
불기둥이 산처럼 솟아오르니 동네사람들이 놀래서 소리 지르며 달려 나온 것이다.
너 이놈~
맨 먼저 도착한 아저씨가 내 목을 잡고 막 흔든다.
이놈의 새끼... 네가 불질렀지?
엉~ 아니예여~
형아들이 질렀어여~
뭐? 여기 너 밖에 더 있어?
조그만한 놈이 거짓말부터 배웠네.
네 아버지에게 가자!
아까 그 형들이 불을 짚은 곳은 동네 사람들이 벼 추수 후 공동으로 지푸라기 볏단을 모아 논에 크게 쌓아 놓은 지푸라기 더미였다.
그 이유는 동네 전체가 지붕을 고치거나 새로 올리거나 성황당이나 당산나무를 감아주는데 사용하는데 필요한 공동재산이었다.
이 지푸라기 짚단(볏단)은 소 여물도 먹이고 새끼줄도 꼬고 망태도 만들고 여러 가지로 활용하는 지푸라기 짚이었다.
그런데 그 소중한 지푸리기 볏단에다 불을 지폈으니 동네가 난리가 난 것이다.
나는 계속 아니라고 말했다.
그러기를 수십분...
마을사람들이 웅성웅성 하더니 그 자리에서 풀어줬다.
그 후 부모님께서 보상을 했는지 아니면 그 형들이 자수를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나는 증거 불충분으로 억울한 누명에서 풀려나게 된 것이다.
그 뒤로는 정식으로 썰매를 타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남의 자산에 불내어 죄송했습니다.

화송 깡통 쥐불놀이가 가장 위험했어요. 돌리다 놓치거나 철사가 떨어지면 초가지붕위로 날라가 불나고... 남의 묘지에 떨어져 묘지가 홀라당 타버리고...옛날 모지가 불난 것은 중죄에 처했었자나요...
댓글 쓰기
솔방울님의 열린마당

오리알터 열린마당
